비트코인

[블록체인핫이슈] SEC-리플 길고 긴 소송 마침표…스테이블코인 결제 급증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과의 소송을 정식으로 종료했다고 발표했다.  [사진: 셔터스톡]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과의 소송을 정식으로 종료했다고 발표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 간 길고 긴 소송이 마침내 끝났다.SEC가리플과의 소송을 정식으로 종료했다고 발표했다.

<!– –>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폴 앳킨스 SEC 위원장과 헤스터 퍼스 위원은 향후 암호화폐 업계를 위한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 수립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SEC, 리플 소송 종결 선언…”암호화폐 규제 마련에 집중”

퍼스 위원은 “SEC와 리플의 소송이 마침내 종결됐다. 소송에 쏟았던 노력을 드디어 암호화폐에 대한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앳킨스 위원장도 “정책 수립 테이블로 에너지를 전환할 기회”라고 전했다.

SEC와 리플은 지난 8일 제2순회항소법원에 제기한 상호 항소를 취하하기로 합의했다. 지난 2020년 말부터 이어진 XRP 판매로 인한 13억달러 자금 조달의 증권법 적합성 여부를 둘러싼 분쟁이 사실상 종결된 것. 기관 투자자에 대한 수억 달러 상당의 XRP 판매는 미등록 증권 판매로 인정됐지만, 개인 투자자에 대한 2차 시장 판매는 리플 측이 승소했다.

법원에 출석하는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사진:연합뉴스]
법원에 출석하는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사진:연합뉴스]

테라폼랩스 공동창업자 권도형 전 대표가테라 사태와 관련된 두 가지 사기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권도형, 테라폼랩스 관련 혐의 2건 유죄 인정…25년형 받을 수도

보도에 따르면 권도형씨는미국 뉴욕 남부지방법원에서 전신사기(wire fraud) 및 사기 공모 혐의 두 건에 대해 유죄를 인정하며 재판 없이 형량을 받는 절차를 택했다. 2023년 3월 미국 법무부는 권도형씨를 상대로 증권 사기, 시장 조작, 자금세탁 및 전신사기 등 9개 혐의로 기소했으며, 이번 유죄 인정으로 그는최대 25년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는 전했다.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2025년 상반기 반기보고서를 공시했다고14일 밝혔다.

⦁두나무, 상반기 매출 8019억원…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두나무의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영업수익(매출)은801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882억원)보다1.8%증가했다.영업이익은5491억원으로 전년 동기(4947억원)대비11%늘었고,당기순이익은 작년 상반기(3985억원)보다4.9%상승한4182억원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솔라나 기반ETF 승인 결정을 또 다시 연기했다고 더블록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美 SEC, 솔라나 ETF 승인 여부 다시 연기…10월 결정

비트와이즈(Bitwise)와 21셰어스(21Shares)가 제출한 솔라나 ETF 신청에대해 SEC는“충분한 시간 확보를 위해 승인 또는 거부 결정을 10월 16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스테이블코인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메인넷을 개발하려는 관련 업체들의 행보가 활발해지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용 블록체인 쏟아진다…메인넷판 들썩

스타트업은 물론유력 스테이블코인 회사들까지도 직접 레이스에 가세하는 모양새다. 달러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이 올해 이더리움 가상머신(EVM)과 호환되는 자체 레이어1(L1) 블록체인 '아크(Arc)'를 출시한다.

미국 상원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인 지니어스(GENIUS) 법안을 통과시켰다. [사진: 셔터스톡]
미국 상원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인 지니어스(GENIUS) 법안을 통과시켰다. [사진: 셔터스톡]

미국 금융권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인 지니어스법(GENIUS Act)이 기존 금융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다며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고코인데스크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美 금융권, 스테이블코인법 개정 촉구…소비자단체와도 연대

미국은행협회(ABA)와 다른 은행단체들은 금융개혁을 위한 미국인들(AFR), 전국소비자법센터(NCLC)와 함께 GENIUS법특정 조항 삭제를 요구하는 서한을 상원 의원들에게 보냈다.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국가별로 다르게 만들어지면서 대형 기업들에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규제 파편화…대기업들에 유리할 것”

유럽연합MiCA, 미국 지니어스법(GENIUS Act), 홍콩 스테이블코인 조례가각각 다른 조건들을 제시하며, 기업들은지역별 규제에 맞춰 별도컴플라이언스 구조를 구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스테이블코인 결제 규모가 2030년까지 연간 1조달러를 초과할 것이라고 블록체인 시장조성업체 키락(Keyrock)과 라틴아메리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Bitso)가 공동 보고서를 통해 전망했다.

⦁스테이블코인 결제…2030년까지 연간 1조달러 돌파 전망

특히 B2B, P2P, 카드 결제 등에서 빠르게 확산되며, 전통 금융 시스템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고 1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주요 기업들의 암호화폐 보유액이 1000억달러를 넘어서면서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가 이러한 자산을 금과 같은 방식으로 국유화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비트코인, 금처럼 국유화될까…기업 보유 증가에 美 정부 개입 우려

1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분석가 윌리 우(Willy Woo)는 최근 라트비아 리가에서 열린 '발틱 허니배저 2025'(Baltic Honeybadger 2025) 패널 토론에서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대량 보유함에 따라 비트코인이 새로운 중앙 집중식 취약점이 될 수 있다”라며 “암호화폐가 1971년 금의 국유화 경로를 밟을 수도 있다”라고 지적했다.

서클 로고.
서클 로고.

세계 최대 규모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인터넷그룹 주가가 1000만주 신주 공모 계획 발표 이후 5% 이상 하락했다.

⦁서클, 1000만주 유상증자 발표…시간외서 5% 이상 급락

12일(현지시간)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서클은 이날 뉴욕증시 시간외거래에서 5.89% 급락한 153.6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서클이 분기 실적 발표 직후 6% 가까운 주가 하락을 기록했다고 더블록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테이블코인 돌풍 서클, 괜찮은 실적에도 주가는 하락세…왜?

서클 분기 실적은 표면적으로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서클은 스테이블코인 USDC유통량이 전년 대비 90% 증가해 613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총 수익 및 준비금 운용 수익은 53% 증가해 6억 5800만달러에 달했다. 그러나미즈호증권은 “서클주가가 '희미해지고 있다(fading)'”며, 원인으로 3가지를 지적했다.

코인베이스가 2019년 처음 도입한 스테이블코인 부트스트랩 펀드를 재가동하며, 디파이(DeFi) 시장에서 USDC 유동성을 확대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코인베이스, 스테이블코인 펀드 재가동…USDC 유동성 강화

이번 펀드는 이더리움 기반 아베와 모포, 솔라나 기반 카미노(Kamino)와 주피터(Jupiter)에 USDC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 골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가족 및 측근들이2022년부터 암호화폐 관련 사업으로 약 24억달러를 벌어들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2022년부터 암호화폐로 24억달러 벌었다

코인텔레그래프는12일(현지시간) 뉴요커보도를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일가는NFT, 비트코인, 밈코인 등 다양한 암호화폐 프로젝트에서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 일가가 설립한 암호화폐 채굴 기업 아메리칸 비트코인이 아시아 상장 기업 인수를 추진한다고코인텔레그래프가 파이낸셜타임스를 인용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일가 아메리칸 비트코인, 아시아 기업 인수 추진…BTC 보유 확대

보도에 따르면 아메리칸 비트코인은 일본과 홍콩 기업 인수를 검토 중이며, 스트래티지BTC 보유 전략을 벤치마킹해 세계 최대 비트코인 비축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카나리 캐피털이 트럼프 코인 ETF를 델라웨어주에 등록했다. [사진: 셔터스톡]
카나리 캐피털이 트럼프 코인 ETF를 델라웨어주에 등록했다. [사진: 셔터스톡]

미국 민간 자산운용사 카나리 캐피털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연관된 밈코인 '트럼프 코인'(Trump Coin)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위한 법인 등록을 마쳤다.

⦁카나리 캐피털, 트럼프 코인 추종 ETF 등록…밈코인 시장 판도 바뀌나

13일(이하 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델라웨어 법인국 자료에서 카나리 캐피털은 '카나리 트럼프 코인 ETF'라는 이름으로 법인을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공식 트럼프 코인을 추적하는 암호화폐 ETF 출시를 예고하는 것으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정식 등록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더리움(ETH)이 세상에 나온 지도 어느덧 10년이 지났다. 이더리움은 지난 2009년 비트코인(BTC)의 등장으로 촉발된 기술 혁신에 프로그래밍 가능 블록체인이라는 전례 없는 개념을 현실화하며 압도적인 존재감을 키워왔다.

⦁10년 진화 이어온 이더리움…차세대 블록체인의 미래는?

그렇다면 이더리움의 미래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관련해 1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최근 프랑스 칸에서 열린 이더리움 커뮤니티 콘퍼런스(EthCC) 현장을 찾아 이더리움 생태계를 이끄는 주요 인물들과 나눈 대화를 집중 조망했다.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창립자가 최근 다시 10억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보유자로 등극했다.

⦁비탈릭 부테린, 3년 만에 이더리움 억만장자 복귀…10억달러 이상 보유

1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더리움 가격이 8개월 만에 4000달러를 돌파한 지 며칠 만이다.

S&P 다우존스 인덱스(S&P DJI)가 주요 거래소, 커스터디 업체, 디파이(DeFi) 프로토콜들과협력해 자사 지수에 대한토큰화 버전을 라이선스하고 상장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S&P 다우존스, 거래소·디파이 프로토콜들과 토큰화 지수 상장 논의

S&P DJI 미국 주식 담당 이사 스테파니 로턴(Stephanie Rowton)은 “토큰화된S&P 제품이 투명성, 보안, 규제 준수 기준을 충족하는 플랫폼들에서만 출시되도록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콩 금융당국이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들을 상대로 보안 규정을 강화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를금지하는 새로운 규정을 도입하면서커스터디 업체들대응이 불가피해졌다.

⦁홍콩, 암호화폐 커스터디 보안 기준 강화…콜드월렛서 스마트 컨트랙트 금지

15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는 즉시 시행되는 암호화폐 커스터디기준을 발표했다.

씨티그룹 [사진:셔터스톡]
씨티그룹 [사진:셔터스톡]

씨티그룹이 암호화폐 커스터디 및 결제 서비스 도입을 검토하며, 트럼프 행정부 시절 승인된 규제와 친산업적 입법을 활용해 시장 진입을 모색하고 있다고 1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씨티그룹, 암호화폐 커스터디 진출 검토…ETF·스테이블코인 겨냥

비스와루프 차터지 씨티그룹 임원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뒷받침하는 고품질 자산에 대한 커스터디 서비스가 초기 목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씨티그룹은 암호화폐 연계 상장지수상품(ETP) 커스터디도 검토 중이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도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구글 플레이가 암호화폐 지갑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라이선스 규정을 적용한다고 12일(이하 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구글 플레이, 암호화폐 지갑 개발자 규정 강화…15개국서 라이선스 요구

이번 변경 사항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을 포함한 15개국 개발자들에게 적용되며, 오는 10월 29일부터 시행된다. 미국 내 개발자는 현지 규제 기관에 금융 서비스 사업자 또는 송금 서비스 제공업체로 등록해야 하며, EU 내 개발자는 암호화폐 자산 서비스 제공업체(CASP)로 등록해야 한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Gemini)가 1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IPO 서류를 공개하며 나스닥 상장을 본격 추진한다. 종목코드는 'GEMI'로 IPO 가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모건스탠리, 칸터가 상장 절차를 주관한다.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 IPO 신청…리플과 110억달러 신용계약 체결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제미니는 최근 리플(Ripple)과 최대 110억달러 규모의 신용계약을 체결했다.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알트코인 트레저리 기업의 성장세 속에서도 비트코인 전략을 고수하는 이유를 밝혔다.

⦁스트래티지, 알트코인 열풍에도 비트코인 집중하는 이유…”비트코인만이 답”

1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 회장은 비트코인이 세계 디지털 자본이며, 앞으로도 S&P500을 뛰어넘는 성과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은 모네로 네트워크를 상대로 51% 공격이 발생함에 따라 모네로(XMR)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크라켄, 51% 공격으로 프라이버시 코인 모네로 입출금 중단

51% 공격은 특정 마이닝 풀이 블록체인해시레이트 과반을 장악해 이중 지불 및 거래 재정렬이 가능해지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번 공격은 AI 기반 블록체인 큐빅(Qubic)이 모네로 해시레이트51%를 확보했다고 주장하며 시작됐다.

암호화폐 결제 인프라 기업 메시(Mesh)는 페이팔 벤처스, 코인베이스 벤처스 등전략적 투자자들로부터 비공개 라운드를 통해 자금을 유치했다고 더블록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암호화폐 결제 인프라 '메시', 페이팔 벤처스 등서 전략적 투자 유치

이번 라운드로 메시 누적 투자 유치 규모는1억3000만달러를 넘어섰다. 메시는 올해 3월 패러다임주도 아래 8200만달러 규모시리즈 B를 유치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 ‘업비트 커스터디(Upbit Custody)’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업비트,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 ‘업비트 커스터디’ 출시

업비트 커스터디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다년간 축적한 보관 기술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설계한 법인 및 기관 전용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다.

두나무와 베트남 밀리터리뱅크는 1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 기술 제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앞줄 왼쪽 첫번째)가 한국과 베트남 양국 정부·기관·기업인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잔: 두나무]
두나무와 베트남 밀리터리뱅크는1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 기술 제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오경석 두나무 대표(앞줄 왼쪽 첫번째)가 한국과 베트남 양국 정부·기관·기업인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잔: 두나무]

두나무가 베트남 가상자산 시장 육성을 위해 베트남 밀리터리뱅크(MB은행)와 기술 제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업비트, 베트남 밀리터리뱅크 가상자산 거래소 설립 지원

두나무는 지난 1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 베트남 밀리터리뱅크와 MOU를 체결,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베트남 디지털 금융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니텍은 비트코인 보유 상장사 비트맥스 전환사채(CB) 총 350.1억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이니텍, 비트맥스 전환사채 350억원 투자…가상자산 신사업 본격화”

비트맥스는 12일 기준 비트코인 51.1142개를 추가 매입해 551.2376 BTC를 보유하고 있다. 전 세계 상장사 중 49위, 국내 상장사 기준 1위라고 이니텍은 전했다.

블록체인 벤처캐피털 해시드 신흥시장 펀드 해시드이머전트가 12월 2~3일 인도 벵갈루루 시 쉐라톤그랜드호텔에서 인도 웹3 컨퍼런스인 IBW2025(India Blockchain Week 2025)를 개최한다.

⦁해시드 이머전트,12월 인도 웹3 컨퍼런스 ‘IBW2025’ 개최

올해 행사에는 블록체인·크립토 기업들 주요 인사들이 다수 참여한다. 현재까지 ▲스리람 칸난아이겐클라우드설립자 ▲세바스티앙 보르제더 샌드박스최고운영책임자(COO) ▲유수프 굴라마바스애니모카 브랜즈 최고지식책임자(CKO) ▲비샬 칸카니 멀티코인 캐피털수석심사역 ▲마크 라이던 에이서 공동창업자 겸 최고전략책임자(CSO) ▲오기 일라그CMT 디지털파트너 ▲릭 크리에거트러스트월렛 최고운영책임자(COO) 등이 주요 연사로 참여를 확정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