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업계, 석화 NCC 25% 감축 추진…“무임승차 단호하게 대응”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산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식’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8/20/rcv.YNA.20250818.PYH2025081815660001300_P1.jpg)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위기에 내몰린 석유화학 업계가 공동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정부와 소통 속에서 나프타분해시설(NCC) 생산 능력을 최대 25%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각 기업이 강력한 자구 노력이 담긴 사업 재편안을 우선 마련해야만 금융, 규제 완화 등의 내용이 담긴 맞춤 지원을 해주겠다는 ‘선(先) 자구노력, 후(後) 정부 지원’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책임있는 자구노력 없이 다른 기업들 설비 감축의 혜택만을 누리려는 무임승차 기업에는 단호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산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식’에서 업계의 사업재편 의지를 확인하고 정부의 산업 구조개편 방향을 밝혔다.
정부는 이날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과잉 설비 감축 및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지역경제ㆍ고용 영향 최소화 등 ‘구조개편 3대 방향’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3개 석유화학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구조개편을 동시 추진하고 충분한 자구노력 및 타당성 있는 사업재편계획 마련과 정부의 종합지원 패키지 마련 등 ‘정부지원 3대 원칙’을 확정한 바 있다.
이날 협약식은 정부의 이같은 입장에 발맞춰 석유화학 업계 스스로 구조적 불황을 극복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게 되었다.
협약식에서 석유화학 업계는 산업계 자율컨설팅 결과를 반영해 ▷270~370만톤 규모의 나프타분해시설(NCC; Naphtha Cracking Center) 감축 ▷고부가ㆍ친환경 제품으로의 전환 ▷지역경제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전환기를 맞아 산업계가 자율적으로 선제적 사업재편 의지를 밝히고 그간의 버티기 전략에서 벗어나 구조개편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산업부는설명했다.
정부도 향후 업계에서 제출하는 사업재편계획에 대한 타당성 및 기업들의 자구노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이에 필요한 금융, 세제, 연구개발(R&D), 규제완화 등 지원패키지를 마련해 뒷받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사업재편이 신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산업부는 지역경제 및 고용 충격 완화를 위해 지난 5월 여수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서산시도 추가 지정을 검토 중이다. 고용부는 최근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 제도를 신설, 지난 19일 고용정책심의회를 통해 여수시를 지정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앞으로 여수시는 고용유지지원금, 생활안정자금 융자 등에 대한 요건 및 수준을 달리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김 장관은 “우리 석유화학 산업이 미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과감하고 신속한 구조개편만이 유일한 돌파구”라며 “지금이 아니면 안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우리 기업들도 사업재편에 적극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산업계가 한마음으로 진정성있게 노력한다면, 정부도 그에 상응해 뒷받침하는 ‘선(先) 자구노력 – 후(後) 정부지원’의 원칙이 중요하다”면서 “책임있는 자구노력 없이 정부 지원으로 연명하려 하거나, 다른 기업들 설비 감축의 혜택만을 누리려는 무임승차 기업에게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