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9.30~10.2 삼성동 코엑스에 개최200개 도시, 300개 기업, 6만명 참여 예정


제1회 SLW에 참가한 오세훈 시장이 직접 시연해보고 있는 모습. [서울시 제공]
제1회 SLW에 참가한 오세훈 시장이 직접 시연해보고 있는 모습.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서울시가 ‘약자와 동행하는 AI 도시’ 비전 아래 글로벌 스마트도시 전략의 모델을 완성해 나가는 ‘제2회 스마트라이프위크(Smart Life Week: SLW 2025)’를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다.

올해로 2회를 맞는 ‘SLW 2025’는 서울시와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가 주최하고 서울AI재단이 주관하는 행사다. ‘SLW 2025’는 단순 전시를 넘어 서울이 지향하는 포용적 기술의 핵심을 집약해 선보이는 자리로 국내외 도시와 기업, 전문가, 시민이 함께 스마트도시 모델 실현 방안을 공유하는 국제적인 논의의 장이다.

올해 행사 슬로건은 ‘사람을 위한 AI, 미래를 여는 스마트시티(AI for Humanity, Smart Cities Leading Tomorrow)’다. ‘기술은 약자를 향해 걷는다’라는 서울시의 도시 철학을 바탕으로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기술 구현에 초점을 맞췄다.

우선 올해는 작년과 비교해 행사 규모를 대폭 늘렸다. 지난해 109개 도시, 147개 기업, 3만여명이 참여했는데 올해는 약 2배 늘린 200개 도시, 300개 기업, 6만명 참여를 목표로 한다. 전시장 규모도 작년보다 1.7배 가량 확대(1만2572㎡)해 더 많은 콘텐츠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SLW 2025’는 크게 ‘SLW 쇼룸’, ‘서울AI로봇쇼’ 등 과 , 으로 나눈다.

먼저, ‘하루를 통해 미래를 걷는다’를 콘셉트로 한 SLW 쇼룸, 서울AI로봇쇼 등 일상에 스며든 AI를 통해 도시의 모습을 체험할 수 있는 이 운영된다.

SLW 쇼룸은 아모레퍼시픽, LG U+, 두산로보틱스, 신한은행 등 국내 대표기업이 시나리오 구현에 참여해 기술 현실성과 몰입도를 높였다. 시연을 넘어 시민 참여형 체험 요소를 강화해 관람객이 ‘구경’이 아닌 ‘살아보는’ 전시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SLW 2025 포스터. [서울시 제공]
SLW 2025 포스터. [서울시 제공]

올해 SLW의 핵심 콘텐츠는 단연 ‘로봇’이다. 전시관 메인행사 중 하나로 ‘극한로봇’을 주제로 한 ‘제1회 서울AI로봇쇼’가 열린다. 실제 현장에서 인간과 협업하고 극한환경을 돌파해 나가는 로봇들이 시민 앞에 ‘살아있는 기술’로 등장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서울AI로봇쇼’는 기술 전시를 넘어 ▷휴머노이드 로봇 간의 스포츠대회 ▷장애물, 화재진압 등 극한환경 극복기술 대결 경진대회 ▷일상과 접목된 다양한 로봇체험프로그램 및 전시 등 참여형 콘텐츠를 선보이며 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조망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외에도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기업 ‘아람코’를 비롯해 IBM, 알리바바 등을 소개하는 ‘대기업관’과 딥로보틱스, MIT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관’, 기후테크를 비롯한 혁신 스타트업의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주제관’도 운영해 산업은 물론 기술, 시민생활을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23년부터 서울시가 지자체 최초로 개최 중인 ‘기후테크 컨퍼런스’도 SLW 기간 중 함께 진행, 혁신기술의 글로벌 확산 효과도 높인다. 올해 컨퍼런스는 ‘모두를 위한 스마트한 기후테크’를 주제로 지속가능한 도시와 탄소중립 글로벌 의제에 기후 기술이 기여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I시대 기후테크, 혁신기업 기술 시연 등 다채롭게 진행된다.

행사 첫날 개막식 문은 국내 생성형 AI 스타트업 ‘뤼튼’의 창업자 이세영 대표가 연다. 이 대표는 기조연설자로 나서 해외 도시 시장단을 대상으로 기술과 사람, 사회적 공존에 대한 메시지를 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SLW를 기술이 약자의 곁에 머물도록 하고, 일회성 전시가 아닌 지속가능한 정책 실현의 장으로 지속해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SLW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서울시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전략의 중심 무대이자 전 세계 도시와 함께 만드는 공동의 실험장”이라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