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서클과 스트라이프는 왜 자체 블록체인을 구축하려 할까?

스테이블코인 [사진: Reve AI]
스테이블코인 [사진: Reve AI]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기업들이 독자 블록체인을 구축하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17일(현지시간)코인데스크에 따르면서클은 USDC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위한 아크(Arc)를, 스트라이프는 패러다임(Paradigm)과 협력해 레이어1 블록체인템포(Tempo)를 개발한다.

<!– –>

최근 플라스마(Plasma)와 스테이블(Stable)도 USDT 기반 체인 개발을 위해 자금을 유치했으며,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 디나리(Dinari) 등도 독자 네트워크를 구축 중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기존 퍼블릭블록체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규제와 비용을 직접 통제하려는 전략 일환이라고 코인데스크는 전했다.

암호화폐 은행 시그넘(Sygnum)의마틴 버허(Martin Burgherr)는 “레이어1을 직접 구축하면 결제 속도, 상호 운용성, 규제 준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며 “거래 비용과 네트워크 성능을 직접 제어하려는 경제적 동기도 크다”고 말했다. 알케미(Alchemy) CTO 기욤 폰신(Guillaume Poncin)은”결제 네트워크를 소유하면 기존 결제 프로세서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신규 블록체인이 기존 레이어1을대체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코인베이스 애널리스트들은 “아크와 템포는 솔라나(Solana)저비용 결제 시장을 겨냥하고 있지만, 이더리움이 가진 기관 중심 사용자층을 단기간에 흔들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버허는 “신규 체인이 신뢰를 얻고 기존 유동성을 대체하려면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이들 맞춤형 레이어1은기존 레이어1을대체하기보다는 맞춤형 금융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코인데스크는 전했다.

AI전문번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