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물재해 대응 및 수자원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중소규모 지류하천 관측 확대…144개 수위, 44개 유량지점 신규 반영[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환경부 소속 한강홍수통제소는 지난해 전국 수문관측소에서 조사한 수위, 유량, 강수량 등 수문자료 정보를 종합한 ‘2024 한국수문조사연보’를 31일 발간한다고 밝혔다.1962년 ‘한국수문조사서, 수위편’을 시작으로 올해 63년째를 맞은 ‘한국수문조사연보’는 한 해 동안 수문조사기관에서 관측한 하천의 수위, 유량 등 수문자료를 기록해 홍수, 가뭄 등 물재해 예방과 수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2024 한국수문조사연보’에는 전국 2349곳(강수량 646곳, 수위 1031곳, 유량 616곳, 유사량 34곳, 증발산량 13곳, 토양수분량 9곳)의 수문자료가 수록됐다.이번 연보에는 최근 빈발하는 극한호우에 따른 중소규모 지류하천에서의 홍수피해 예방을 위해 신설된 수위관측소 144곳과 유량관측지점 44곳의 자료가 새롭게 반영됐다.이를 통해 지류하천까지 더욱 정밀한 수문관측체계가 구축되어 지역단위 홍수 대응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2024 한국수문조사 연보’는 7월 31일부터 한강홍수통제소 누리집에서 그림파일(PDF)과 엑셀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다.김구범 한강홍수통제소장은 “기후위기에 따른 홍수, 가뭄 등 물재해 대응을 위해서는 수자원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국수문조사연보가 과학적인 수자원 관리와 미래의 물 재해 대응전략 마련을 위한 든든한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thlee@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