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7월 소비자물가 2.1% 상승…폭염에 먹거리 가격 ‘고공행진’

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두 달 연속 2%대

외식 물가 3.2% 올라…생선회 6.3%, 커피 4.1%↑

폭염에 시금치·열무·깻잎도 급등

기후변화 영향으로 기록적인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농축수산물의 공급 불안이 커지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달 중순 이후의 고온으로 여름 배추의 생육이 부진할 우려가 있다고 이달 초 전망했다. 사진은 7월 28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배추 [연합]
기후변화 영향으로 기록적인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농축수산물의 공급 불안이 커지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달 중순 이후의 고온으로 여름 배추의 생육이 부진할 우려가 있다고 이달 초 전망했다. 사진은 7월 28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배추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7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2.1% 오르며 두 달 연속 2%대 상승세를 이어갔다. 축산물과 수산물, 가공식품 등 먹거리 품목의 가격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2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2.2%, 2월 2.0%, 3월 2.1%, 4월 2.1%, 5월 1.9%, 6월 2.2%를 기록했으며, 5월을 제외하고 2%대를 유지하고 있다.

세부 품목별로는 식료품 가격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축산물은 전년보다 3.5% 올랐고, 수산물은 7.3% 뛰었다.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도 각각 4.1%, 3.2% 상승했다. 특히 고등어(12.6%), 마늘(18.7%), 커피(15.9%), 달걀(7.5%), 햄·베이컨(7.1%), 쌀(7.6%), 빵(6.4%) 등 주요 품목에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외식 항목 중에서는 생선회(6.3%)와 커피(4.1%)가 눈에 띄는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과일류는 지난해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배(-37.3%), 사과(-11.0%), 당근(-41.3%), 파(-10.6%), 상추(-12.3%), 배추(-4.9%) 등 주요 품목들이 일제히 떨어졌다.

농산물 전체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0.1% 하락하며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으나, 전달인 6월(-1.8%)에 비해서는 하락폭이 크게 줄었다. 통계청은 이 같은 변화에 대해 기록적인 폭염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올해 7월 폭염일수는 14.5일로, 지난해 같은 달(4.3일)보다 3배 이상 늘었다. 이에 따라 시금치(13.6%), 열무(10.1%), 깻잎(9.5%) 등 더위에 민감한 채소류의 가격이 상승했다.

정부가 지난달 21일부터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일부 외식 가격에 영향을 미치긴 했지만 전체 물가에 뚜렷한 영향을 주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고기 외식(1.6%)과 돼지갈비 외식(2.3%) 가격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물가 반영 시점이 7월 하순으로 늦어 전체적인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OECD 기준 식료품·에너지 제외 근원물가는 2.0% 상승했고, 국내 기준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2.3% 올랐다. 가계의 체감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했으며, 식품은 3.2%, 식품 외 품목은 2.0% 각각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대비 0.5% 하락했지만, 신선어개(수산물)는 7.6% 오르며 대조를 이뤘다.

기획재정부는 “기상 여건과 국제유가,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민생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 시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fact0514@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