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동산 허위 매물 서울 서초동 ‘최다’, 전체 건수는 감소세

KISO 분석…6·27 대책 이후 검색·거래 줄며 허위매물 신고도 33%↓

서울 송파구 서울스카이에서 본 일대 아파트. [연합]
서울 송파구 서울스카이에서 본 일대 아파트. [연합]

[헤럴드경제=김태열 선임기자] 올해 상반기(1∼6월) 부동산 허위 매물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222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는 12일 올 상반기 접수된 허위 매물 신고 1만5천935건 가운데 1만1천339건을 실제 허위 매물로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광명시 철산동(205건)에서 허위 매물이 가장 많았다. KISO는 “두 지역 모두 재건축과 개발 호재로 수요가 증가하며 허위 매물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수도권에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 발표 이후 허위 매물 신고는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6·27 대책 발표를 기점으로 규제 이전(6월 1∼26일)에는 허위 매물 신고량이 26일간 3천249건(일평균 125건) 접수됐지만, 규제 이후(6월 27일∼7월 22일) 26일간은 2천176건(일평균 83건)으로 33% 감소했다.

KISO는 “강력한 규제로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이 일시적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매물 검색과 거래 활동이 위축된 데 따른 현상”이라며 “허위 매물도 자연스럽게 감소한 것”이라고 분석했다.상반기 허위 매물 적발로 201개 중개사무소가 216건의 매물 등록 제재를 받았다.

이 제재는 KISO와 협약을 맺은 27개 전체 부동산 플랫폼(네이버페이 부동산, 다방, KB부동산 등)에 일정 기간 매물 등록을 못 하게 하는 조치로, 매우 강력한 것이라고 KISO는 설명했다. 월 누적 3회 이상, 직전 3개월간 10회 이상 허위 매물로 제재받은 중개사무소는 최대 6개월간 매물 등록이 제한된다.

kty@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