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대출 규제에…7월 가계대출 증가폭 ‘3분의 1토막’
7월 가계대출 2조2000억원 증가
전월, 전년 동월 대비 증가폭 축소
“당분간 증가 추세 이어질 수 있어”
시장 과열 등 면밀 점검·엄정 대응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 영향으로 7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 모습.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8/13/rcv.YNA.20250707.PYH2025070715610001300_P1.jpg)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 영향으로 7월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달의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 이후 최저치다.
1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2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6월(6조5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3월(7000억원) 이후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달(5조2000억원)과 비교해도 크게 낮다.
은행 증가폭 줄고 2금융권은 감소 전환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은 4조1000억원 증가하며 6월(6조1000억원) 대비 확대세가 둔화됐다. 은행권이 5조1000억원에서 3조4000억원으로, 제2금융권이 1조1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모두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1조9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최근 증가세를 유지하던 신용대출이 1조1000억원 줄며 감소세로 전환된 영향이 컸다.
업권별로 보면 7월 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8000억원 증가해 6월(6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상당히 줄었다.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이 2조2000억원으로 전월(3조8000억원) 대비 축소됐으며 정책성대출의 증가폭이 1조3000억원에서 1조2000억원으로 소폭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6000억원 줄며 감소세로 전환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6000억원 감소했다. 상호금융권 증가폭이 1조20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크게 줄었고 저축은행과 보험의 경우 가계대출이 각각 3000억원, 4000억원 줄면서 감소폭이 확대됐다.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가계대출도 2000억원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8월 신용대출 증가세 일시적, 안정 유지 중”
금융위는 이날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농협·수협·신협·새마을금고중앙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통상 자금수요가 증가하는 7월의 계절적 요인에도 주담대와 기타대출 증가세가 모두 둔화된 것은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미 이뤄진 주택거래와 대출 승인액 등을 감안할 때 당분간은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추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6·27 대책 시행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최근 전세가격 흐름은 변화가 크지 않은 상황으로 이번 대책 시행에 따른 전세시장의 불안요인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하반기 이사 수요 등으로 전세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공감했다.
정부는 지역별 대출동향 일일점검, 주택거래 동향 등을 살피고 향후 주택시장 과열이나 가계부채 증가추세가 이어지지 않도록 부동산 관련 불법·탈법·이상거래를 점검하는 등 엄정히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최근 고가주택의 신고가 발생 사례 등과 관련해 신고가 신고 이후 철회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행위 등 시장을 교란하는 불법행위를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고가주택의 자금출처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세금신고가 적정하게 이뤄졌는지 검증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8월은 통상 이사수요, 휴가철 자금수요 등 계절적 요인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라면서도 “최근 신용대출 증가세는 공모주 청약 등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증거금 등이 환급되며 이달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현재까지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안정화될 때까지 시장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규제지역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추가 강화,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과 같은 거시건전성 규제 정비 등 준비돼 있는 조치를 즉각적이고 선제적으로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ehk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