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자체 체인·월렛 출시…\”원화 스테이블코인 유통 파트너로 자리매김\”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9일 UDC 2025에서 업비트의 거래 역량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유통 파트너로서 글로벌 온체인 금융 시장으로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거래소인 업비트를 중심으로 체인, 지갑, 트래블룰(거래자 정보 의무 확인·전송) 솔루션, 커스터디(수탁) 등을 아우르는 미래 온체인 금융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포부다.
<!– –>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9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UDC 2025에서 “스테이블코인 초기 활성화는 디지털자산 거래소의 유통 역량에 달려 있다”며 “업비트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한다면 한국의 금융이 아시아를 거쳐 글로벌로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업비트는 세계 수준의 유통량과 거래 인프라를 보유, 원화 스테이블코인 유통 파트너로 적임자라는 입장이다. 두나무에 따르면업비트의 지난해 현물거래 금액은 1740조로 국내 1위는 물론 글로벌 4위 수준의 거래량을 가졌다. 누적 가입자 수는 1200만명, 초당 2만건의 거래 체결 인프라를 보유 중이다.
실제 거래소의 유통 역량은 스테이블코인의 성패를 가르는 요소다. 시가총액 230조원의 USD테더(USDT)는 발행사 테더홀딩스의 계열 거래소인 비트파이넥스가 발행과 거래를 주도했다. 시총 90조원 규모의 USD코인(USDC)는 발행사 서클과 미 최대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전략적으로 유통했다. 반면 페이팔이 팍소스와 협력해 유통하는 PYUSD는 글로벌 최대 규모 결제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시가총액이 1조6000억원에 머무른다.
오경석 대표가 기와 체인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이를 위해 두나무는 거래소인 업비트 외에도 온체인 금융 친화적인 블록체인인 '기와'(GIWA)를 출시한다.
오 대표는 “기와라고 이름붙인 체인은 KYC/AML을 고려한 금융 친화적인 블록체인으로 업비트 거래소, 스테이킹 운영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통해 안정적으로 체인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유통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디지털자산 거래에 필요한 지갑인 '기와월렛'(GIWA Wallet)을 출시한다.
그는 “기와월렛을 통해 기존 웹2서비스 뿐만 아니라 웹3 서비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며 “개발자 측면에서는 디앱 개발에 친화적인 도구를 제공하여 디앱 생태계를 활성화 시킬 것이고, KYC가 필요한 경우 업비트 유저와 연동하여 간편하게 KYC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두나무의 자체 레이어2 블록체인 '기와'의 소개영상.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트래블룰 솔루션 서비스인 '베리파이 바스프'(Verify VASP)도 소개했다. 오 대표는 “이미 저희는 가상자산사업자가 디지털자산을 주고받을 때 확인된 계정에 대해서만 입출금하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며 “30개국 진출, 150개의 VASP 를 연결, 누적 1800만건의 입출금을 검증했다. 거래규모로 따지면 누적 4000억달러를 처리했다”고 강조했다.
법인·기관 특화 디지털자산 수탁 서비스인 '업비트 커스터디'도 본격화한다. 그는 “법인의 디지털 자산 투자가 허용된다면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하려는 수요가 클텐데 이를 위해 출시했다”며 “보안 측면에서는 고객의 자산을 콜드월렛에 100% 보관해 해킹 등 위협을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MPC, DKG 다중 관리 체계를 도입해 단일 키 유출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한다는 설명이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