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금원·신복위, 11일부터 공공마이데이터 기반 맞춤형 복합지원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정교화
![[헤럴드DB]](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8/06/news-p.v1.20250701.5243f638bef3485e8fd9fccd391f4f4e_P1.png)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오는 11일부터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고용·복지 복합 지원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공공마이데이터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정보 주체의 동의 아래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앞으로는 서민금융진흥원(정책서민금융)과 신용회복위원회(채무조정) 상담 시 공공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공공정보 21종을 우선 분석하도록 했다. 이를 토대로 고용·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 정책을 연계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정책서민금융·채무조정 상담 직원이 고객 진술 등에 의존해 복합지원을 제공해야 했으나 정보 보유기관에서 직접 확보한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지원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상담 직원이 21종의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어 상담 시간도 기존 약 30분에서 5~10분으로 대폭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객이 언급하지 않은 지원 필요 분야도 시스템이 자동으로 추천해 적극적으로 발굴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연계 정확도 향상, 상담시간 단축, 지원 사각지대 해소와 표준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ehk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