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은, 역직구 활성화 보고서 발표번호 인증에 막힌 ‘역직구’ 풀어야


사진은 빨간색 불이 켜져 있는 서울 중구 한국은행 인근 신호등 [헤럴드DB]
사진은 빨간색 불이 켜져 있는 서울 중구 한국은행 인근 신호등 [헤럴드DB]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외국인이 국내 상품을 온라인으로 직접 구매하고 싶어도 회원가입 절차가 복잡해서 할 수 없다는 지적이 한국은행에서 28일 나왔다. 한은은 이에 이메일 등을 통한 인증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이날 ‘외국인 국내 상품 인터넷 직접구매(역직구)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외국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직구’는 지난 2017년 2조2000억원에서 2024년 8조1000억원으로 6조원가량 확대됐다.

반면, 역직구는 같은 기간 6000억원에서 1조6000억원으로 1조원 증가에 그쳤다. 한은은 회원가입 시 국내 개통 휴대전화를 통해 본인확인을 하는 게 일반화돼 있는데, 이 경우 해외 소비자는 회원가입 자체가 어렵고 지적했다.

추승우 한은 전자금융팀 차장은 “외국 이커머스는 이메일주소나 SMS 등을 활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또 보고서는 해외에서 발급된 페이팔·알리페이 등 해외 간편 지급 서비스도 대금 지급 수단으로 적극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외소비자를 표적으로 한 국내외 간편 지급 서비스 간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역직구 대금 지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교환·반품, 대응 서비스 업무까지 처리해 주는 ‘통합 물류 대행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해외 배송 관련 분쟁 처리 부담을 덜어주고, 물류 기반을 확충하면 외국인의 국내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용 여건이 한층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th5@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