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석유화학도 상생이 답”…정부·지자체·기업 손잡고 ‘격차 해소’ 실험

SK인천석유화학·협력사·고용부·인천시, 지역 주도형 협약 체결

신규 채용 1인당 최대 6000만원 지원…‘1% 기금’ 복지에도 투입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6일 SK인천석유화학 본사에서 열린 인천-석유화학 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6일 SK인천석유화학 본사에서 열린 인천-석유화학 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산업안전은 ‘비용’이 아닌 ‘투자’, 협력사 복지는 ‘시혜’가 아닌 ‘미래동력’이라는 인식 아래 석유화학업계에 새로운 실험이 시작됐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대기업, 협력사, 노동조합이 참여해 산업안전과 고용, 복지를 한 축으로 묶은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위기 속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역 주도형 협력모델’을 본격 가동하겠다는 의지다.

고용노동부는 6일 인천시, SK인천석유화학㈜, 협력사들과 함께 ‘인천 석유화학 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영훈 고용부 장관과 유정복 인천시장, 노상구 SK인천석유화학 대표, 양상규 노동조합 위원장, 주요 협력사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 3월 발족한 ‘인천 석유화학 상생협의체’의 논의 성과를 토대로 약 5개월 간의 실무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숙련인력 이탈, 구조적 원·하청 격차 등 복합 위기 상황에서 산업 생태계 전반의 체질을 바꾸겠다는 정책적 실험이기도 하다.

협약에 따라 SK인천석유화학은 협력사와 공동으로 ▷전문 안전감시자(safety key man) 운영 ▷산업안전 컨설팅 지원 ▷공용 휴게공간 ‘상생협력관’ 조성 등 건강한 작업장 만들기에 나선다. 고용부와 인천시는 협력사 신규 인력 채용 시 1인당 최대 6000만원의 고용장려금을 지급하고, 장기근속 인센티브로 최대 400만원의 지원금도 제공한다. 숙련 인력 확보를 위한 멘토링 운영과 문화행사·복지포인트 지원도 포함됐다.

특히 SK인천석유화학은 임직원 기본급 1%를 출연해 조성한 ‘행복나눔기금’을 활용해 협력사 직원 복지에도 나선다. 이 기금은 협력사 근로자의 문화생활 지원, 여가 프로그램, 자녀 교육비 등에 직접 쓰이며 상생모델의 대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김영훈 고용부 장관은 “상생과 연대 없이는 지속 가능한 성장도 없다”며 “노조법 2·3조 개정도 결국 현장의 자율적 대화와 협력이라는 토대 위에서만 진정한 ‘대화 촉진법’, ‘격차 해소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SK인천석유화학과 협력사, 노동조합이 보여준 수평적 리더십은 산업계의 건강한 관계 구축에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인천시는 이번 협약이 지역 맞춤형 일자리 정책과 산업 전략을 연결하는 ‘지역 주도형 거버넌스 모델’이라며, 앞으로 조선업·물류업 등 다른 업종으로 확산 가능성을 검토할 방침이다. 상생협약 이행 실적은 정기적으로 평가되며, 우수 사례는 중앙정부 공모사업이나 추가 지원으로 연계될 수 있다.

이번 협약은 산업안전 강화를 통한 생명 보호, 고용안정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원·하청 복지 격차 완화를 통한 근로환경 개선이라는 ‘3대 축’에 기반한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과 노동계가 손잡은 이번 실험이 과연 진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fact0514@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