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국회·지자체, 농촌 외국인노동자 인권·안전 ‘현장 점검’
전북 완주군 농가 방문…숙소·작업장 폭염 대응 실태 확인
‘이름 부르기 캠페인’·인권침해 집중 신고기간 운영
김영훈 장관 “숙소 문제는 기본 인권…종합대책 마련”
![23일 강원 강릉시 송정 들녘에서 농민과 외국인 노동자들이 감자를 수확하고 있다.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8/08/rcv.YNA.20250623.PYH2025062304660006200_P1.jpg)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와 국회, 지방자치단체가 손잡고 농촌 외국인 노동자의 인권·안전·주거 실태 점검에 나섰다.
고용노동부는 8일 김영훈 장관과 국회 안호영 환경노동위원장, 유희태 완주군수 등이 전북 완주군 외국인 고용 농가를 방문해 현장 시찰과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동 방문은 폭염 속 외국인 노동자 폭행·괴롭힘 등 인권침해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취약한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마련됐다. 시찰단은 농가 숙소의 냉·난방 설비, 주거 위생 상태를 점검하고, 상추 재배 작업장에서 ‘폭염 안전 5대 수칙’ 이행 여부를 확인했다. 김 장관은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하고 시원한 물을 충분히 제공해 달라”고 사업주에 당부했다.
간담회에서는 외국인 노동자의 농촌 생활 경험과 애로사항을 듣고, 쿨토시·쿨타월 등 온열예방 용품을 전달했다. 또 노동존중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의 이름을 모국어·한국어로 새긴 명찰을 달아주는 ‘이름 부르기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고용부는 이를 모든 고용허가제 근로자로 확대하고, 사업주 대상 인권·산업안전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는 11일부터 29일까지 3주간 외국인 노동자 인권침해 ‘집중 신고기간’을 운영한다. 20일부터는 매주 수요일을 ‘외국인 노동인권 신고·상담의 날’로 지정해 고용센터에 통역요원과 노무사·근로감독관이 상주하며 원스톱 상담을 제공한다. 김 장관은 “농어촌 외국인 숙소 문제는 노동권을 넘어 기본 인권의 문제”라며 “차별 없는 노동권 보장을 위해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fact0514@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