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찬진 신임 금감원장 “경제 대전환 뒷받침…모험자본 공급·질서 확립”

이 신임 원장, 14일 취임 후 임기 시작

“혁신·공정·PF 정리·안정·소비자 보호”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 2층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제공 ]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 2층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제공 ]

[헤럴드경제=박성준 기자]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 산업이 국가 경제의 대전환을 지원하는 동시에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소임을 다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이 신임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 2층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전날 금융위원장의 제청을 받아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임명했다. 별도 청문회 절차가 없기 때문에 내정 이튿날 곧바로 금감원으로 출근해 임기를 시작했다.

그는 “저성장과 고착화라는 위기에 봉착한 한 우리 경제는 ‘모방과 추격’의 익숙한 성장 전략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새 국가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금융은 효율적 자원 배분이라는 본연의 역할로 모든 과정의 중심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경제 주체가 공정한 과실 배분에 대한 신뢰 아래 혁신과 가치 창출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앞으로의 금융감독 방향으로 ▷혁신 기반 마련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 ▷금융안정 수호 ▷금융소비자보호 기능 강화 등을 제시했다.

우선 모험자본 공급펀드와 중소기업 상생지수 도입으로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고, 자본시장이 기업 성장 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또한 금융 분야에서도 신기술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안전 활용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 육성에 관한 법·제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시장 질서 확립과 관련해서는 “상법 개정안의 성공적 안착을 지원하고 주가조작·독점 남용 등 공정성을 훼손하는 행위는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동산 PF 문제 해결도 주요 과제로 꼽았다. 이 원장은 “부동산PF 잔존 부실을 신속히 해소하고 정책금융 연계를 통해 우량 사업장을 정상화해 주택 공급이 원활한 금융환경을 조성하겠다”며 PF 여신심사 강화와 시행사 자격 요건 보완 등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 의지를 내비쳤다.

금융 안정 측면에서는 가계부채 총량 안정적 관리 기조를 확고히 유지하고 부채와 주택가격의 악순환을 끊어내겠다고 했다. 동시에 채무조정과 대출부담 경감 프로그램을 확대해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지원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소비자보호처 업무체계 혁신과 전문성·효율성 제고, 금융권 모니터링 기능 강화, 필요 시 감독·검사 적극 활용을 통한 사전 피해 예방을 약속했다. 민생을 위협하는 금융 범죄에는 수사당국과 공조해 강력히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 원장은 “국제사회는 대한민국을 인구 감소와 저성장의 대표 사례로 꼽으면서도 국민의 창의력과 위기 극복 저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며 “지금의 위기도 반드시 극복해 혁신적 도약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psj@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