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국 협상서 日·EU 자동차에 총력한은 ‘지역경제보고서’ 분석해보니한국도 지역경제 근간 ‘車산업’ 핵심전국 5개 권역에 일제히 직격탄 전망완성차 생산량, 부품 생태계, 일자리 흔들


미국과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 자동차 산업 경쟁력이 급격하게 저하될 경우 지역 경제에 막대한 충격을 줄 수 있다는 한은 경고가 나왔다. 사진은 경기도 평택항 수출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 [헤럴드DB]
미국과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 자동차 산업 경쟁력이 급격하게 저하될 경우 지역 경제에 막대한 충격을 줄 수 있다는 한은 경고가 나왔다. 사진은 경기도 평택항 수출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 [헤럴드DB]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일본과 유럽연합(EU)이 미국과 관세 협상에서 끝까지 사수한 산업은 ‘자동차’였다. 자동차에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판매용 차량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 더 큰 문제는 자국 자동차 산업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쳐 경제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도 자동차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는 이유다.

특히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수도권부터 호남권까지 전국 권역 자동차 산업이 직격탄을 받을 수 있다는 한국은행 경고가 나와 이번 협상에 더욱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당장 한은은 관세 영향에 따라 각 권역별로 완성차 생산 물량이 축소되고 관련 부품 생태계까지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로부터 창출되는 막대한 규모의 일자리마저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29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은 관세 협상 결과로 수도권, 대경권, 호남권, 충남권, 동남권 등 전 권역 자동차 산업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봤다.

한은 인천본부는 지역경제보고서에서 “2024년 기준 인천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인천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57.6%, 중고차를 제외한 신차 기준으로는 88.1%를 차지하는 등 인천 자동차 수출의 대미 의존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자동차 수출기업뿐만 아니라 시차를 두고 소재·부품·장비 등 인천 내 전후방 연관기업에도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충남권에 대해서는 ‘미 신정부 관세정책이 충남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지역경제 연구 보고서에서 “관세 경로는 미국이 충남 수출에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미국 내 시장에서 충남 수출품의 경쟁력이 약화해 생산이 위축되는 경로를 의미한다”며 “자동차는 충남 대미(對美) 수출의 약 31%를 차지한다”고 경고했다.

울산 등 동남권은 “미국 관세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가운데, 미국 현지생산 확대, 전기차 수요부진 등의 영향으로 (울산지역 자동차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대차는 미국 조지아공장에서 1~5월 중 월평균 약 5600대의 전기차를 출고했고, 하반기에는 생산 차종 확대의 영향이 본격화되며 생산량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울산지역 자동차 수출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대경권은 “(자동차부품이)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국내 업체의 미국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소폭 감소할 것”이라고 봤고, 호남권은 “자동차는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파급효과가 본격화되며 국내 생산 물량 축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한은은 “국내 주요 완성차업체들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점유율 유지를 위해 미국 내 판매가격 인상, 미국향 수출 물량의 인위적 감축 등의 즉각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를 지속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는 “미국 내 재고가 대부분 소진됐을 것으로 추정돼 향후 관세 조치가 장기화할 때 완성차업체들이 판매가격 인상, 미국 내 생산 거점을 활용한 현지 판매 확대 등을 포함해 생산 및 판매계획을 재수립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자동차 산업은 지역 고용 유발효과가 다른 산업과 비교해 매우 크다는 점에서 지역 경제 전반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자동차산업의 직·간접 고용인원은 약 150만명에 달했다. 이는 한국은행 산업연관표(2022년 연장표)를 활용해 산출한 철강(41만명), 반도체(28만명) 분야 등의 직·간접 고용인원을 약 100만명 이상 앞서는 수치다.

자동차 업계의 생산 유발 효과가 전국에 걸쳐 고르게 분포됐다는 점도 특징이다. 소멸 위기에 빠진 지역 경제를 그나마 지탱하고 있는 것이 자동차 산업인데, 관세 여파로 이 근간이 급격하게 흔들릴 수 있다는 얘기다.

국내 주요 산업의 권역별 생산 비중(생산액 기준)에 대한 2023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반도체는 수도권에 82%, 조선은 동남권에 80%가 집중됐지만 자동차산업은 ▷동남권 35% ▷수도권 29% ▷충청권 16% ▷호남권 11% ▷대구경북권 9% 등에 고루 분포돼 있다.

th5@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