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發 글로벌 웹3 인프라\”…두나무, 퍼블릭 블록체인 \’기와\’ 출범
송원준 두나무 크립토프로덕트 리드가 9일 UDC2025 사이드 세션에서 두나무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손슬기 기자]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블록체인 기업 두나무가 자체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와'(GIWA)를 발표했다. 기와는 'Global Infrastructure Web3 Access'의 약자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3 인프라를 표방한다. 이를 위해 확장성·신뢰성·유동성·편의성에 개발 초점을 맞췄다는 설명이다.
<!– –>
송원준 두나무 크립토프로덕트 리드는 9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된 UDC 2025에서 “기와는 세계에 제시하는 한국 웹3의 새로운 기준”이라며 “누구에게나 열려 있고 쉬우면서 일상 속에서 함께 할 수 있는 웹3 인프라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두나무는 대중성 있는 웹3 인프라 개발을 위해 확장성·신뢰성·유동성·편의성 등 4가지 요소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먼저 옵티미스틱 롭업 기반 레이어2 체인을 선택해 확장성을 높였다. 이더리움의 보안성에 기반해 짧은 블록타임과 저렴한 수수료로 빠른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 복잡한 서버 인프라 없이도 다양한 서비스 구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금융 서비스 수준의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와 체인은 온체인 인증(Verify) 기능을 제공한다. 업비트의 가격·거래량·유저 통계 등 데이터를 오라클(Oracle)을 통해 안전하게 온체인에 올린다는 설명이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유동성은 업비트를 통해 곧바로 확보가 가능하단 입장이다. 업비트는 현재 1020만명의 회원, 80조원 규모의 수탁 자산, 3조8000억원가량의 스테이킹 자산 등을 보유했다.
편의성은 로그인 방식을 획기적으로 간편화한 셀프 커스터디 월렛(직접 보관 지갑)인 '기와월렛'(GIWA Wallet)을 제공해 확보한다. 이용자는 이메일 로그인과 클라우드 계정 백업으로 간단하게 지갑을 만들고 복원할 수 있다. 다중 체인의 자산은 물론, 거래소 자산과 월렛 자산을 한 곳에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술적으로는 MPC(Multi-Party Computation·다자간 계산) 구조를 적용했다. 개인 키를 여러 조각으로 나눠 보관하고 이를 조합해 서명하는 방식으로 보안성은 강화한 방식이다. 송 리드는 “보내는 건 더 쉽게 받을 때의 신뢰감은 더한 시스템”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두나무는 이날 기와 체인의 테스트넷도공개했다. 한국어·영어 지원 개발자 가이드 문서를 제공한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