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멈추면 소상공인 매출 18조 감소…피해 발생시 손실보상 촉구”
![쿠팡 직원이 새벽배송인 ‘로켓프레시’ 주문상품을 포장하고 있다.[쿠팡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1/09/news-p.v1.20251109.a5aac52cf1b34f0a8e595d94849bd039_P1.jpg)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최근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가 노동자 건강권 보장을 이유로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의 새벽배송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쿠팡 노동자에 이어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도 강하게 반발히고 나섰다.
소공연은 9일 논평을 통해 “역대급 위기를 온라인 판매를 통해 겨우 활로를 모색히고 있는데 난데없는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크나큰 불안감을 넘어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밝혔다.
또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쿠팡을 비롯한 새벽배송 온라인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촉구에 나설 것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 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약 40% 감소하면, 소상공인 매출은 18조 3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쿠팡의 입점 소상공인은 21만명으로 거래액은 9조원에 달하며, 전체 입점 판매자 중 소상공인 비중은 75%에 달한다.
소공연은 “많은 소상공인들이 이제는 식재료를 새벽배송으로 받아 하루 장사를 준비하는데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새벽에 차를 몰고 식자재를 구매하러 가야 해 인력충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며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와 나아가 한국 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키겠다는 의도”라고강력 반발했다. 또 “노조가 ‘상생’이 아니라, 가뜩이나 어려운 민생경제에 재 뿌리겠다는 심산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 처사”라고도 했다.
또 “노조의 일방적인 주장에만 귀 기울이는 듯한 고용노동부의 처사에 소상공인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으며, 소상공인들의 분노로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atto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