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금융 혁신인가 기업 리스크인가…프라이버시 논쟁 본격화
스테이블코인 [사진: 연합뉴스]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페이팔, 블랙록, 월마트, 아마존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금융사뿐만 아니라 비금융 대기업들까지 자체 토큰 발행을 고려하면서 스테이블코인이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전략적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 –>
하지만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뛰어드는 것이 과연 신중한 결정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관련 내용을 28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현재 스테이블코인 관련 논의는 규제, 담보화, 결제 혁신에 집중돼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간과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서 운영되며, 이는 기업 프라이버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경쟁사들이 실시간으로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고, 가격 전략을 조정하며, 기업의 매출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상황이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투명성은 기업에게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다. 공개된 거래 데이터를 활용해 경쟁업체들이 선제적으로 대응하거나, 심지어 주식 시장에서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공매도 전략을 펼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스테이블코인이 진정한 금융 혁신이 되려면 기업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장치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문제는 현재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가 이러한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데이터 보호 규정을 조화시킬 방안이 필요하지만, 아직 뚜렷한 해결책은 없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기 전,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오히려 기업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