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파라메타,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사업 수주

[사진: 파라메타]
[사진: 파라메타]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블록체인 기업 파라메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 과제인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 –>

이번 사업은 2027년부터 EU에서 시행 예정인 디지털제품여권(DPP: Digital Product Passport)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전기차 배터리 생산부터 운행, 충전, 정비, 재사용, 재활용까지 전 생애주기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록·관리해 신뢰 가능한 이력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DPP 대응 요건을 맞추는 것이 골자다.

수요기관은 부산광역시, 주관사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기업 피엠그로우, 파라메타는 블록체인 전반의 기술을 맡는다.

배터리 여권 플랫폼은 전기차 배터리에 ‘여권’을 부여하듯 고유 이력을 디지털 인증서 형태로 저장하고, 다양한 산업 주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파라메타는 자사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DID(탈중앙화 신원인증)과 PDS(개인 데이터 저장소)를 접목해 참여자 신원과 데이터 주권을 모두 보장할 수 있는 한국형 데이터스페이스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번 사업에는 파라메타가 개발한 공공용 블록체인 인프라 마이아이디2.0(MyID 2.0)도 적용된다.

김종협 파라메타대표는 “이번 사업은 EU 수출을 준비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실질적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스페이스를 통해 민간과 공공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