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美 관세에 취약…대미수출 의존도 19% 달해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한국의 제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한국이 미국 상호관세 조치로 전방위적인 산업의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비중은 27.6%였다. OECD 회원국 평균(15.8%)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한국 제조업의 GDP 비중은 2015년 30.2%에서 2019∼2022년 28%대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소폭 낮아졌다. 하지만 수치상으로는 제조업 강국인 독일(20.1%)과 일본(20.7%)을 앞지른다. 아일랜드(31.0%)에 이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다.

한국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은 2015년 59.8%에서 2023년 63.0%로 확대됐다. 서비스업의 성장에도 제조업은 여전히 경제의 핵심 축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첨단 제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조선·철강 등 전통 제조업 분야에서 경쟁력이 높다.

수출 비중도 높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GDP 대비 총수출 비중은 44.4%였다. OECD 평균(30.0%)보다 14%포인트(p) 이상, 주요 7개국(G7)보다도 높다.

GDP 대비 총수출 비중은 G7 가운데 독일이 41.8%로 가장 높았다. 이어 프랑스(33.9%), 이탈리아(32.7%), 캐나다(32.4%), 영국(30.6%) 등이 뒤를 이었다. 일본은 22.8%, 미국은 10.9%였다.

한국의 전체 수출액 가운데 미국으로 향하는 수출 비중인 대미수출 의존도는 지난해 18.8%였다. G7과 비교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캐나다가 76.4%로 가장 높았고, 일본은 20.0%였다.

제조업 비중과 대미수출 의존도를 고려하면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는 국내 산업의 충격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등의 가격 경쟁력은 약화할 수밖에 없다. 국내 제조업 생산 위축과 기업의 투자·고용 축소도 우려된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 25%의 상호관세율을 설정하고, 유예 시한을 8월 1일까지로 연장했다. 한국 정부는 관세 기한 전 막판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번 주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만날 예정이다.

andy@heraldcorp.co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