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조1200억원 지급…‘찾아가는 신청’ 운영스티커 등 사용처 편의정보 제공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후 첫 주말인 27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 한 가게에 쿠폰 사용이 가능하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7/28/rcv.YNA.20250727.PYH2025072703710001300_P1.jpg)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행정안전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접수를 시작한 지 일주일만에 예상 지급 대상자의 78.4%인 약 3967만명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지급액은 약 7조1200억원이다.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과 2021년 국민지원금과 같은 기간 비교하면 신청 비율이 각각 24.0%포인트, 10.2포인트 증가했다.
온라인 신청은 26일부터 요일제가 해제됐고 주민센터·은행영업점 등에 방문하는 오프라인 신청은 28일부터 해제됐다. 신청 마감 기한인 9월 12일까지 출생연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언제든지 신청할 수 있다.
고령자・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국민을 대상으로 지자체 공무원이 직접 방문해 신청을 접수하고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찾아가는 신청’도 추진한다.
읍면동 주민센터 등으로 전화・문자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면, 담당 직원이 가정·마을회관·경로당 등으로 찾아가 소비쿠폰 신청을 접수하고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호우 피해 이재민, 고령자·장애인 거주시설 등에 거주하는 국민은 지역별 이·통장 및 사회복지협의회 등과 연계해 ‘찾아가는 신청’을 선제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소비쿠폰 사용처가 다양해짐에 따라 업종별 사용가능 여부를 보면, 대형마트·백화점 임대매장의 경우, 해당 대형마트·백화점과 결제 시스템을 공유하지 않고 소상공인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매장(미용실, 약국, 꽃집 등)은 사용이 가능하다.
프랜차이즈 매장 중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은 소상공인 지원 취지에 맞지 않아 사용이 제한되나 연 매출액 30억원 이하의 지역 자영업자가 직접 운영하는 가맹점은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며, 해당 매장은 본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안내되고 있다.
지역농협(법인)은 연 매출액 30억원을 초과함에 따라 원칙적으로 사용이 제한되지만, 관내에 마트·슈퍼·편의점 등 유사 업종이 없어 소비쿠폰 사용이 어려운 지역의 주민들을 위해 일부 면 지역에 소재한 하나로마트에서 예외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매장 내 키오스크와 테이블주문시스템은 통상 결제대행사(PG, Payment Gateway)가 별도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판매업장의 매출액과 지역 파악이 곤란기 때문에 매장 내 카드 단말기를 통해 결제하는 경우에만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택시는 면허등록증 상 차고지(개인택시) 또는 법인 소재지(법인택시)가 해당 지역이고 연 매출액이 30억원 이하인 경우 사용이 가능하지만, 결제대행사(PG)의 결제시스템을 이용하는 택시는 사용이 제한되므로 사전에 차량에 부착된 ‘소비쿠폰 사용처 스티커’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행정안전부 자료]](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7/28/news-p.v1.20250728.bd6c6c19e15c4bc5b9debb87c853f5a5_P1.jpg)
행안부는 사용 가능업종에 해당하는 매장에 대해 지자체와 협력해 ‘소비쿠폰 사용처 스티커’를 교부·부착하고, 일부 카드사 앱, 지자체 홈페이지에서도 소비쿠폰 사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사용 가능 매장을 직접 안내하고 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미처 신청하지 못한 국민들도 기간 내에 빠짐없이 지급받을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력해 ‘찾아가는 신청’을 적극 추진하고, 소비쿠폰 사용 과정에서도 국민 불편이 없도록 사용처 등에 대한 홍보·안내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th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