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통상본부장 “한미관세협상, 생각 못 한 ‘디테일’ 나올 수도”
JTBC와의 인터뷰
“車 관세 15%, 실제 적용 시점 미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0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한국 정부 협상단과 무역 합의를 타결한 이후 단체사진을 함께 찍고 있다. [백악관 X계정]](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8/08/news-p.v1.20250801.a2b5696ac09c47a5ad609466c7a709e9_P1.jpg)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8일 “한미 관세 협상 이후 추가 협의 과정에서 생각지 못한 ‘디테일’이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이날 JTBC와의 인터뷰에서 한미 관세 협상의 세부 사항이 앞으로 논란이 될 수 있지 않겠냐는 질문에 “협상을 하고 나면, 여러 ‘디테일’에 대해 추가 협의하는 과정에서 당초 생각 못 했던 부분이 나오기도 하고 새로운 합의를 하기도 하고 그렇다”고 답했다.
자동차 관세가 현재 25%가 적용되고 있는데 미국과 합의한 15%가 적용되는 시점에 대해선 “실제 관세 인하 시점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100% 관세를 최근 언급한 것과 관련해선 지난주에 반도체, 바이오 등에도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합의했다면서 “EU가 15% (관세) 정도 얘기되고 있는데 그렇다고 하면 우리나라도 반도체에 15%가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한미 협상 결과가 명문화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앞으로 시간을 갖고 ‘디테일’을 추가 협의하면서 명문화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협상 당시 상황에 대해 회상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예측이 불가능하다.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면서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 제의를 대통령이 한다면, 그때는 우리가 ‘수용할 수 없다’고 자리에서 나오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도 염두에 두고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이 아닌 장관 등과의 협상에 응한 것이 한국의 중요도 때문이라고 말했다고도 전했다.
여 본부장은 “(협상에서) 인상적이었던 건 끝날 때쯤에 트럼프 대통령이 본인은 보통 대통령이나 국가 정상과 협상을 직접 하는데, 한국은 정말 중요해서 각료랑도 협상한 것이라고 했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