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030년까지 수도권 국유지에 2.8만호 착공”…첫 점검회의 개최

국유지 활용 주택공급 점검단 첫 회의 개최

“국유재산 활용 주택공급 역할 확대해야”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정부가 국유지와 노후 공공청사를 복합개발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공공주택 2만8000호를 착공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신속한 사업 추진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기획재정부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유지 활용 주택공급 점검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

이번 회의는 지난 9월 7일 발표된 ‘새정부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후속 조치로, 당시 정부는 도심의 우수 입지를 활용해 청년·신혼부부 등을 위한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를 위해 국유지와 노후 공공청사를 복합개발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2만8000호를 착공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는 또 속도감 있는 주택 공급을 위해 기획재정부와 국방부 등 관계 부처가 참여하는‘국유지 활용 주택공급 점검단’을 구성했다.

이날 처음 열린 회의에서는 국유지 복합개발의 방향, 부처별 주택공급 목표, 사업 추진의 신속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됐다.

강영규 재정관리관은 “노후 공공청사 등 국유재산을 활용한 주택공급의 역할과 기능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2030년까지 수도권 2만8000호 공공주택 착공 목표를 초과 달성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기재부는 앞으로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주기적으로 이행 상황을 점검, 국유지를 활용한 공공주택 공급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y2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