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B금융, 2030년까지 생산적·포용금융에 110조 쏟는다

생산적금융 93조, 포용금융 17조

전략산업 육성·생태계 조성에 방점

계열사별 전담조직 신설 추진 계획

부동산금융 조직 축소 등 개편 검토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KB금융 제공]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KB금융 제공]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KB금융그룹이 향후 5년간 110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금융을 공급한다. 견고한 자본력과 조달 역량을 기반으로 미래 국가경제를 이끌어갈 전략산업 육성과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KB금융은 지난 9월 출범한 생산적금융 협의회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생산적 금융에 93조원, 포용금융에 17조원을 지원하는 세부 추진 계획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우선 생산적금융 93조원은 투자금융 25조원과 전략산업융자(기업대출) 68조원으로 공급한다. 투자금융 부문은 ▷국민성장펀드 10조원 ▷그룹 자체투자 15조원으로 구성된다. 전략산업융자의 경우 5년간 68조원 규모로 첨단전략산업과 유망성장기업 등에 자금을 공급한다.

KB금융은 투자금융 경쟁력을 바탕으로 메가딜(초대형 거래) 발굴과 선제적 금융지원을 통해 국민성장펀드의 조기 성과창출 및 성공적 안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15조원 규모의 그룹 자체투자를 통해서는 생산적금융(자산운용·증권·인베스트) 펀드 결성, 증권의 모험자본 공급, 계열사 인프라·벤처투자 등을 공급한다.

특히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5극 3특 전략’에 부합하는 지역 성장 프로젝트 발굴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권역별 핵심 산업과 연계되는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인공지능(AI)센터, 물류·항만 등 지역 맞춤형 전략산업과 사회간접자본(SOC) 복합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5극3특은 수도권·동남권·대경권·중부권·호남권 등 5개 초광역권과 제주·강원·전북 등 3개 특별자치도를 말한다.

포용금융 17조원은 서민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성장과 재기지원, 자산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금융지원과 채무지원 프로그램 등으로 추진된다.

KB금융은 주요 계열사 사장단을 포함한 경영진 21명이 참여하는 생산적금융 협의회를 통해 추진방향과세부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주기적으로 실적을 점검하고 있다. 계열사별로 전담조직을 만들어 생산적금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생산적금융을 위한 은행 내 전담조직 신설을 검토 중이다. 이와 별도로 지난달에는 첨단전략산업 전담 심사부서를 만들었다. 증권의 경우 미래산업 리서치 강화를 위해 조직을 재정비했으며 자산운용도 첨단전략산업 운용실을 신설했다.

KB금융은 기업여신 정책과 영업방식 등을 국가 산업육성 관점에서 접근해 대출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각 계열사 내 부동산금융 영업조직을 축소하고 기업·인프라금융 영업조직을 확대하는 조직개편을 검토 중이다.

앞서 금융위원회가 주관한 생산적금융 소통 점검회의에서 KB금융은 총사업규모 3조3000억원 규모의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금융주선 실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KB증권의 경우 증권사 최초로 정부 상생결제대출 시장에 참여하는 계획을 내놨다.

KB금융 관계자는 “금융이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선도하는 본질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 주도 생산적 금융 지원에 적극 동참하겠다”며 “소상공인, 서민·취약계층의 성장·재기 지원에도 앞장서 국민 모두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포용금융 지원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KB금융과 신한금융을 끝으로 5대 금융(KB·신한·하나·우리·NH)이 모두 정부의 생산적 금융 전환 정책에 부응하는 자금 공급 계획을 내놓게 됐다. 향후 5년간 총 508조원 규모다.

그룹별로 보면 KB금융과 신한금융이 각각 110조원으로 가장 많고 ▷NH금융 108조원 ▷하나금융 100조원 ▷우리금융 80조원 등이다.

ehkim@heraldcorp.com